Operation History웹 페이지 안에서의 모든 기록으로, Article과 Article-Admin에 다 필요하다.Operation History는 법적인 부분에서도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마케팅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기때문에 반드시 수집을 해두어야 한다.(네이버가 이걸 참 잘한다고....) 1. DB에 테이블을 만들자(테이블명: OPER_HIST)1)HISTORY_ID : OPER_HIST의 PK (시퀀스도 만들어주어야 한다. 시퀀스 이름 : HISTORY_ID_SEQ)2) IP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담는 컬럼3) MEMBER_ID : 클라이언트의 아이디를 담는 컬럼4) CRT_DT : 클라이언트가 접속한 현재 시간을 담는 컬럼 5) URL : 클라이언트가 현재 머무르고 있는 UR..
1. 관리자용 프로젝트 생성하기 이제까지 만든 front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admin 쪽만 추가해줄 것이다. 그냥 그래서 위에처럼 생성할 필요없이 Article 프로젝트를 복사 붙여넣기만 하면된다. 그리고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 web project settings에서 아래와같이 설정하고 적용버튼을 누른다. 이제까지 만든 회원제 게시판은 아주 치명적인 점을 갖고 있다. 그것은 MEMBERS 테이블에 등록되어있는 많은 바로 관리자 아이디가 없다는 것인데, 관리자의 권한은 계정에 부여된 플래그(flag)로 결정된다. 그래서 toad를 켜서 members 테이블에 관리자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알려줄 column을 하나 추가해주어야한다. 이렇게 추가해주고 데이터를 하나 insert해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게시글에 댓글을 달 수 있게 만들것이다. 이렇게!!!!!! 1. 댓글 테이블 2. 댓글에 대댓글이 달릴 때를 대비한 쿼리문!!!쿼리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아래 내용을 이해해야한다. 사실이건너무어려웠당......... 1) ARTICLE_ID이 ? 인 것에 대한 댓글 리스트를 모두 가져오기 위한 쿼리문 2) PARENT_REPLY_ID 가 ? 인 것에 해당하는 댓글 갯수 3) REPLY_ID 가 ? 인 것부터 시작해서 PARENT_REPLY_ID와 REPLY_ID가 같은 것들을 순서대로 가져오기 (ORDER_NO로 내림차순 정렬하면은 가장 큰 ORDER_NO를 얻어올 수 있다) 4) REPLY_ID 가 ? 인 ORDER_NO 가져오기 이제 얘내들을 코드로 보자. ReplyVO.java12..
게시판에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 기능을 넣어보자. 자바는 파일을 올리고 받는 것을 원래 지원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두군데서 이를 지원한다.1. 오레일리에서 배포하고 있는 servlets.com (2008년 업데이트가 마지막)2. 아파치에서 배포하고 있는 Commons 자료 (2014년 업데이트가 마지막) 그래서. 아파치에서 배포하는 FileUpload를 사용해보려고 한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FileUpload 클릭! IO도 함께 받는다! 가장 최신 버전 zip파일로 다운로드! - fileUpload : commons-fileupload-1.3.1.jar를 복사하여 WEB-INF 밑에 lib 에 붙여넣기 한다.- iO : commons-io-2.4.jar를 복사하여 WEB-INF 밑에 lib 에 붙여넣기..
쿠키가 뭘까?로그인할 때 항상 보이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 ID 저장하기□ 자동 로그인 이것들을 처리해주는게 쿠키이다. 고객이 특정 홈페이지를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로 크기는 4KB 이하로 작다. 쿠키는 애초 인터넷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접속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정 사이트를 처음 방문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록한 쿠키가 만들어지고 다음에 접속했을 때 별도 절차 없이 사이트에 빠르게 연결할 수 있다. 쿠키는 사용하는 웹브라우저가 자동으로 만들기도 하고 갱신하기도 하며 웹사이트로 기록을 전달하기도 한다. 따라서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어떤 내용을 봤는지, 어떤 상품을 샀는지 등 모든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이다. 온라인 광고업체들은 쿠키를 이용해서..
update의 기본 원리는 글쓰기 페이지와 동일하다. 여기에 데이터를 넣어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글쓰기 화면은 이렇게 만들었었다.여기서 등록이라는 이름은 수정이라고 바꾸고, 다시쓰기는 ~로.. 서블릿을 만들어보자. update 로직은 거의 공식처럼 사용한다. 예전에 kt가 회원정보가 털린적이 있었는데 url바꿔서 들어와서 그렇다. 이런걸 방지하려면 페이지마다 체크를 해야한다. 페이지를 볼려는 사람이 나인가를 체크해주는 로직이 필요하다. Ctrl+ Shift+ R 파일을 쉽게 찾는 단축키DynamicQuery 뭐가 바뀌었느냐를 체크해야한다. 적절한 쿼리가 실행될 수 있게끔 만들어주어야한다. 매 스텝마다 뭐가 바뀌었는지 체크해주어야한다.
web.xml에서 나는 에러를 보려면 Tomcat 8.0이 필요하다.작년까지 썼던 최신 버전은 8.0이였다.올해부터 나온것이 9.0 ! 실무에서는 아직도 개발 서버로 Tomcat 6.0 를 쓴다. 이미 6.0으로 개발된 것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신규로 개발되는 것들도 6.0을 쓴다. Tomcat 8.0 이상을 쓰는 경우는 단 한가지 바로 WEB Socket을 쓰기 위해서! 그게 아니라면 6.0을 쓴다. WEB Socket은 실시간 채팅, 실시간 게임, 설문조사, 등에 쓰이는 것이다. 나중에 WEB Socket을 사용해서 개발을 할 것이라면 8.0을 받는다.http://tomcat.apache.org/download-80.cgi 로 접속하여 zip파일을 다운받고 c드라이브에 압축을 풀어준다. 그리고 ST..
게시물을 삭제하기 위해서 해야될 일1. 클라이언트단에서 로그인한 사람의 ID와 게시물을 쓴 사람의 ID가 일치할 때 삭제 버튼을 보여주고, 그렇지 않다면 삭제버튼을 보여주지 않는다. 로그인한 사람의 정보는 세션에 담겨있기 때문에 sessionScope를 사용해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sessionScope.세션의 키.VO의 변수명으로 세션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예시)12345 ${sessionScope._MEMBER_.memberId} ${sessionScope._MEMBER_.nickName} ${sessionScope._MEMBER_.password} ${sessionScope._MEMBER_.email}cs 1번의 코드는 다음과 같다. 12345678 삭제 Colored by Color Scri..
- Total
- Today
- Yesterday
- 글쓰기 버튼
- sql
- JSP
- activity
- 뒤로가기 버튼
- MVC
- 클래스
- 뉴스피드 가져오기
- jQuery
- 메뉴바에 버튼 생성하기
- 포스팅하기
- query
- intent
- aop
- 배열
- 예외처리
- 메소드
- spring
- 자바프로그래밍
- 쿼리
- ERD
- 게시판 만들기
- facebook 연동
- mongo db
- Erwin
- mybatis
- er다이어그램
- Linear Layout
- Relative Layout
- 제이쿼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